초전도체검증(2)
-
진짜로 인정될 것 같은 초전도체 근황
정리하면 기존방식으로 만드는 초전도체가 아니기때문에 마이스너 효과가 발생을 안할 가능성이 있고 검증해서 초전도체가 맞다면 기존에 없던 타입3 초전도체를 새로 만들어 그거로 분류해야한다 마이스너 효과가 초전도체의 필수 요소는 아니다라는 의미 아예 기존에 있던 걸 실현해낸게 아니라 새 type3 로 인정 될 가능성이 제시됨 설레발은 끝나지 않았다
2023.07.29 -
고려대 상온 초전도체 역사적 발명
이석배와 김지훈 등이 발명한, 세계 최초의 상압 및 상온 초전도체라고 제의된 물질. 'LK-99'라는 이름에서 'LK'는 제1발명자 이(Lee)석배와 제2발명자 김(Kim)지훈의 성을 딴 것이고, '99'는 연구를 시작한 '1999년'을 의미한다. 2. 전개 2.1. 이전 1993년 고려대학교 최동식 교수가 기존의 초전도체를 설명하던 BCS 이론을 대신해 ISB(Inter Atomic Superconducting Band) 이론을 제시했다. 다만 이 이론이 기존 주류 학설과 동떨어져 있었다. 그래서 이 이론을 증명하기 위해 여러 물질들의 연구가 시작됐다. 1999년 고려대학교 최동식 교수 연구실에서 비전임교수 이석배와 대학원생 김지훈이 신물질 LK-99를 만들었다. 다만 제조공정이나 원리가 정립되진 않았..
2023.07.29